"치매는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"는 말, 과연 사실일까요? 통계를 보면 조금 놀랄지도 몰라요.
안녕하세요, 여러분! 제 주변에도 부모님의 기억력 문제로 걱정하는 분들이 많아졌어요. 특히 연세가 좀 있으신 어머니, 아버지를 모시고 계신 분들은 '혹시 치매 아닐까?' 하는 걱정 한 번쯤은 해보셨을 거예요. 저도 최근에 가족과 치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, 문득 '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까?'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남성과 여성 중 누가 더 치매에 많이 걸리는지, 그 이유는 뭔지 통계와 연구를 바탕으로 하나하나 짚어보려 합니다. 흥미롭고 유익한 시간이 될 거예요!
남성과 여성의 치매 유병률 차이
2023년 통계에 따르면 남성의 치매 유병률은 8.85%, 여성은 9.57%로,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아요. 그런데 흥미로운 건, 2008년 이후 남성은 점점 늘고 있고, 여성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죠. 2008년에는 남성이 7.6%, 여성이 8.34%였거든요. 그러니까 둘 간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는 거예요.
연령대별 치매 유병률 비교
연령대 | 남성 유병률 | 여성 유병률 |
---|---|---|
65~69세 | 6.42% | 2.22% |
70~74세 | 5.07% | 4.99% |
75~79세 | 12.37% | 9.68% |
80~84세 | 15.54% | 15.75% |
85세 이상 | 11.36% | 28.34% |
치매 종류에 따른 성별 차이
- 알츠하이머병: 여성에서 두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남
- 혈관성 치매: 남성에서 더 높음
- 루이소체 치매: 남성에서 더 흔함
- 전두측두엽 치매: 성별 차이 거의 없음
여성이 더 많이 걸리는 이유
여성의 치매 유병률이 더 높은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어요. 첫 번째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요인인 '수명'입니다. 여성의 기대수명이 남성보다 길기 때문에 고령 인구에서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거든요. 그리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, X염색체에 있는 USP11 효소가 여성에게 더 많이 발현돼 알츠하이머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해요.
또 과거 여성의 교육 수준이나 사회 활동 참여가 남성보다 낮았던 것도 영향을 미쳤을 거예요. 이런 경험들은 인지예비능(cognitive reserve)에 영향을 주는데, 이게 부족하면 치매 위험이 더 높아진다는 거죠.
남성 유병률이 증가하는 이유
위험 요소 | 영향 |
---|---|
흡연 | 혈관 질환 유발 → 혈관성 치매 위험 증가 |
과체중 및 비만 | 만성 염증 상태 → 인지 기능 저하 |
당뇨병 | 신경 손상 가능성 증가 |
순환기계 질환 | 혈류 문제 → 뇌 기능 저하 유발 |
정리 및 결론
- 전체적으로 여성의 치매 유병률이 남성보다 높음
- 65~79세 구간에서는 남성이 더 높지만 80세 이상에서는 여성 급증
- 알츠하이머는 여성, 혈관성 치매는 남성에서 더 흔함
- 여성은 생물학적,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
- 남성의 경우 건강행태 악화로 인해 유병률 상승 중
기대수명이 길고, 사회적·교육적 경험 부족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합니다.
흡연, 비만, 당뇨 등 건강행태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
여성에게 더 활발한 USP11 효소의 발현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.
혈압, 당뇨, 흡연 등 남성의 혈관 건강 악화가 원인입니다.
85세 이상 인구에서 여성 비율이 월등히 높고, 생물학적 요인이 함께 작용합니다.
운동, 식습관 개선, 사회활동, 뇌 자극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도움 됩니다.
지금까지 치매 유병률의 성별 차이에 대해 깊이 들여다봤는데요, 어떠셨나요? 저처럼 평소엔 그냥 '나이 들면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병' 정도로 생각했다면, 이번 기회에 시선이 조금 달라졌을지도 모르겠어요. 우리 부모님, 할머니 할아버지 생각하면서 이 글을 읽으셨다면... 한 번쯤 건강검진도 챙기고, 대화도 자주 나누시길 바랄게요. 여러분의 작은 관심이 가족을 지키는 큰 힘이 된답니다.